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오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이 첫소리가 된 소리로 나는 것

고랫재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댓가지 뒷갈망 맷돌 머릿기름 모깃불 못자리 바닷가 뱃길 볏가리 부싯돌 선짓국 쇳조각 아랫집 우렁잇속 잇자국 잿더미 조갯살 찻집 쳇바퀴 킷값 핏대 햇볕 혓바늘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멧나물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깻묵 냇물 빗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도리깻열 뒷윷 두렛일 뒷일 뒷입맛 베갯잇 욧잇 깻잎 나뭇잎 댓잎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귓병(-病) 머릿방 뱃병 봇둑 사잣밥 샛강 아랫방 자릿세 전셋집 찻잔 찻종 촛국 콧병 탯줄 텃세 핏기 햇수 횟가리 횟배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소리가 덧나는 것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3. 두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사이시옷, 쉽게 정리하기

1. 사이시옷 표기의 조건

사이시옷은 사잇소리의 표기 방법을 말한다. 표준 어법에서는 발음에서 사잇소리가 나더라도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할 때만 사이시옷을 표기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사잇소리가 나는 단어들 중에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때 사이시옷을 표기한다.

1- '명사+명사일' 것(합성어)

2- 앞 명사는 모음으로 끝나고 뒷 명사는 예사소리일 것

3- 앞뒤 명사 중 최소한 하나는 순우리말일

 

(1) 사이시옷은 전제  조건인 사잇소리가 나지 않으면 표기할 수가 없다느 ㄴ점을 명심하자. 다음의 단어들은 사잇소리가 나지 않는 단어들이므로 사이시옷을 포ㅛ기하지 않는다.

ex) 머리말, 머리글, 머리글자, 편지글, 소리글자

예사말(例事-), 인사말(人事-), 반대말(反對-)[↔존댓말(尊待-), 혼잣말], 치수(-數)

농사일(農事-), 모래집, 나무집, 새집, 고래기름, 개기름, 개구멍, 배다리, 오리발, 동아줄

 

(2) 사잇소리가 나는 다음의 단어들은 사이시옷을 밝혀 적어야 한다.

1- 뒤 단어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값: 기댓값(期待-), 근삿값(近似-), 대푯값(代表-), 죗값(罪-), 최댓값(最大-), 최솟값(最小-), 전셋값(傳貰-), 도맷값(都賣-),나잇값, 갯값, 킷값

거리/감: 안줏거리(按酒--), 화젯거리(話題--), 이야깃거리(얘깃거리), 안줏감(按酒-), 먹잇감

과(생물): 갯과(-科), 돌고랫과, 고양잇과, 버드나뭇과, 볏과

국: 북엇국(北魚-), 만둣국(饅頭-), 고깃국, 감잣국, 순댓국, 김칫국, 뭇국, 시래깃국, 선짓국

길: 등굣길(登校-), 하굣길(下校-), 귀갓길(歸家-), 기찻길(汽車-), 샛길, 뱃ㄱ길, 빗길

덩어리: 애굣덩어리(愛嬌---), 골칫덩어리, 고깃덩어리, 핏덩어리, 주쳇덩어리

세/돈: 가겟세(--稅), 자릿세(--稅), 노잣돈(路資-), 세뱃돈(歲拜-), 종잣돈(種子-), 셋돈(貰-)

밥/술: 객짓밥(客地-), 공깃밥(空器-), 사잣밥(使者-), 제삿밥(祭祀-), 젯밥(祭-), 제삿술(祭祀-)

빛: 장밋빛(薔薇-), 우윳빛(牛乳-), 연둣빛(軟豆-), 보랏빛, 갈맷빛, 구릿빛, 무지갯빛

집: 전셋집(傳貰-), 셋집(貰-), 소줏집(燒酒-), 맥줏집(麥酒-), 횟집(膾-), 처갓집(妻家-),잔칫집, 고깃집, 가겟집, 아랫집

기타: 장맛비, 막냇동생, 빨랫줄, 갈큇발, 고춧가루, 쇳조가 , 구둣주걱, 구둣발, 꼭짓점(--點), 날갯짓, 배냇짓, 배냇저고리, 날갯죽지, 어깻죽지, 뱃가죽, 귓병, 콧방울, 콧방귀, 볏가리 , 댓가지, 횟배

2- [ㄴ]이 첨가되는 것: 배냇머리, 건넛마을, 뱃놀이, 콧날, 빗물, 잇몸, 무싯날(無市-), 봇물(洑-), 팻말(牌-), 푯말(標-)

3- [ㄴㄴ]으로 발음되는 것: 깻잎, 나뭇잎, 뒷윷, 허드렛일, 가욋일(加外-), 봇일(洑-), 사삿일(私私-)

 

2. 주의해야할 사잇소리 표기

1- 합성어가 아닌 말은 표기하지 않는다.

ex) 햇님(X) → 해님(O), 나랏님(X) → 나라님(O)

2- 뒷말이 예사소리가 아닌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시작될 때는 표기하지 않는다.

ex) 갯펄(X) → 개펄(O), 나룻터(X) → 나루터(O), 뒷뜰(X) → 뒤뜰(O), 뒷치다꺼리(X) → 뒤치다꺼리(O), 뒷편(X) → 뒤편 (O), 윗쪽(X) → 위쪽(O), 윗층(X) → 위층(O)

3- 한자어와 한자어 사이일 때느 ㄴ표기 하지 않는다.

ex) 갯수(X) → 개수(個數), 구둣점(X) → 구두점(句讀點), 기찻간(X) → 기차간(汽車間)

4- '외래어+고유어'일 때는 표기하지 않는다.

ex)피잣집(X) → 피자집(O)

 

3. 한자어의 예외적 표기

한자어 합성어에서는 원칙적으로 사잇소리가 나더라도 사이시옷을 적지 아니하고, 다음과 같이 두 음절로 된 한자어 6개만 예외로 인정하여 사이시옷을 적는다.

ex)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비교] 개수(個數), 도수(度數), 고가(高價), 대가(代價)

 

 

 

 

 

반응형

'JOOGLE2019 > 우리가 잘 모르는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랜만 vs 오랫만  (0) 2019.06.28
-던지 vs -든지  (0) 2019.06.15
개발 vs 계발  (0) 2019.06.09
왠 vs 웬  (0) 2019.06.06
-이 vs -히  (0) 2019.06.05